[글쓴이:] shop2world
A quick introduction to derivatives for machine learning people – 1
Derivative as a concept
Chain rule
경사하강법(Gradient Descent)
경사하강법(Gradient Descent)은 최적화 알고리즘 중 하나로, 함수의 최솟값을 찾기 위해 사용됩니다.
함수의 최솟값을 찾는 것은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한 문제 중 하나입니다.
가장 기본적인 이유는 함수의 최솟값이 주어졌을 때, 그 함수를 최소화하는 입력값을 찾을 수 있다는 점입니다.
여기서 그래디언트(Gradient)란, 다변수 함수에서 각 변수들의 편미분 값들을 모아놓은 벡터를 의미합니다. 그래디언트는 함수의 기울기와 같은 의미를 가지며, 각 변수의 변화에 따른 함수값의 변화량을 나타냅니다.
경사하강법(Gradient Descent)은 함수의 최솟값을 찾는 최적화 알고리즘 중 하나로, 그래디언트를 이용해 함수의 기울기가 낮아지는 방향으로 일정한 크기의 스텝을 내딛어 최솟값을 찾아가는 방법입니다. 경사하강법은 그래디언트를 이용해 함수의 기울기 정보를 활용하는 방법으로, 최적화 문제를 푸는 데에 그래디언트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그래디언트는 함수의 기울기를 나타내는 벡터이고, 경사하강법은 그래디언트를 이용한 최적화 알고리즘입니다.
이런 경사 하강법은 기울기(Gradient 경사)를 이용하여 함수의 최솟값을 찾아가는 알고리즘이기 때문에,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어떤 남성이 어떤 여성에게 관심을 가지고 있고, 그 여성의 호감도를 최대화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우선, 이 남성은 자신의 매력을 최대한 발휘하기 위해 노력해야 합니다. 즉, 여성이 좋아할만한 자신의 장점을 찾아내고, 그것을 최대한 드러내야 합니다.
이것을 경사 하강법의 관점에서 보면, 남성은 여성이 좋아할만한 자신의 매력을 함수의 값으로 생각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 함수의 값이 가장 크게 만드는 요소를 찾아내야 합니다. 이 요소는 여러 가지 요인으로 구성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남성의 외모, 성격, 재능 등이 그것입니다. 이 중에서 여성이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을 찾아서, 그것을 개선해 나가야 합니다.
그리고 이 과정은 여러 번의 시도와 실패를 거쳐서 이루어집니다. 즉, 처음에는 여성이 좋아하는 요소를 정확히 파악하기 어렵기 때문에, 여러 가지 요소를 시도해보고, 그 결과를 측정해보아야 합니다. 이것이 경사 하강법에서 말하는 “기울기를 계산하고, 그 기울기가 가장 낮은 방향으로 이동하는” 과정입니다. 이를 통해 점차적으로 자신의 매력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됩니다.
따라서 경사 하강법은 남녀 관계에서도 적용될 수 있으며, 자신의 매력을 최대화하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요소를 시도하고, 그 결과를 측정하여 점차 개선해 나가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또, 일상 생활에서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 등의 기기를 사용할 때 최적의 배터리 수명을 찾는 것이 경사 하강법과 비슷한 개념으로 생각할 수 있습니다. 배터리 수명은 여러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기 때문에, 이를 최적화하기 위해서는 배터리 사용량, 화면 밝기, Wi-Fi 연결 등 다양한 요소를 고려해야 합니다. 이때 경사 하강법을 이용하여 배터리 사용량과 화면 밝기 등의 요소를 조절해가며, 배터리 수명을 최대한 늘릴 수 있습니다.
또 다른 예로는 운동을 예로 들 수 있습니다. 운동할 때도 목표로 하는 몸매나 체력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어떤 운동을 하고, 어떤 식사를 해야할지 고민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때 운동 시간, 식사 메뉴 등의 요소를 경사 하강법을 이용하여 조절하면, 목표하는 몸매나 체력을 달성하는 데 더욱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
경제학에서는 이익을 극대화하기 위한 최적의 가격을 찾는 데 사용되며, 공학에서는 자동차의 에너지 효율성을 최대화하기 위한 최적의 디자인을 찾는 데 사용됩니다.
또한 함수의 최솟값을 찾는 것은 인공지능, 머신러닝, 딥러닝 등의 분야에서도 매우 중요합니다. 이러한 분야에서는 함수의 최솟값을 찾는 것이 최적화 문제의 핵심적인 목표 중 하나이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회귀분석에서는 오차를 최소화하는 모델 파라미터를 찾기 위해, 신경망에서는 손실 함수를 최소화하는 가중치를 찾기 위해, 최적화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함수의 최솟값을 찾습니다.
예를 들어, 선형 회귀 분석에서는 입력값과 출력값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모델을 학습하는데, 이때 모델의 학습을 위해서는 모델의 예측값과 실제값의 차이인 오차를 최소화하는 최적의 모델 파라미터를 찾아야 합니다. 이때 경사하강법을 사용하여 오차를 최소화하는 최적의 모델 파라미터를 찾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함수의 최솟값을 찾는 것은 다양한 분야에서 최적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매우 중요합니다.
경사하강법은 먼저 임의의 시작점에서 시작하여, 현재 위치에서 함수의 기울기(경사)를 계산하고, 그 기울기가 가장 낮은 방향으로 이동합니다. 그리고 그 방향으로 일정 거리만큼 이동한 후에 다시 기울기를 계산하고, 이동합니다. 이 과정을 반복하여, 함수의 최솟값에 도달합니다.
간단한 파이썬 코드는 다음과 같습니다.
def gradient_descent(f, df, x0, lr, max_iter): x = x0 for i in range(max_iter): grad = df(x) x = x - lr * grad return x
여기서 f는 최솟값을 찾으려는 함수이며, df는 f의 기울기(도함수)입니다. x0는 시작점입니다. lr은 학습률(learning rate)이며, 이 값은 한 번의 반복에서 이동할 거리를 결정합니다. max_iter는 최대 반복 횟수입니다.
또 아래의 코드는 간단한 2차 함수인 x^2 + y^2를 최소화하는 과정을 경사하강법으로 시각화하는 코드입니다.
import numpy as np import matplotlib.pyplot as plt # 함수 정의 def f(x, y): return x**2 + y**2 # 편미분 함수 정의 def df_dx(x, y): return 2*x def df_dy(x, y): return 2*y # 하이퍼파라미터 정의 LEARNING_RATE = 0.1 MAX_ITERATIONS = 50 # 초기값 설정 x = 4.0 y = 4.0 # 경사하강법 알고리즘 for i in range(MAX_ITERATIONS): # 현재 위치에서 기울기 계산 gradient_x = df_dx(x, y) gradient_y = df_dy(x, y) # 경사하강법 업데이트 x -= LEARNING_RATE * gradient_x y -= LEARNING_RATE * gradient_y # 시각화를 위한 저장 plt.scatter(x, y, color='red') # 함수 시각화 x_vals = np.linspace(-6, 6, 100) y_vals = np.linspace(-6, 6, 100) x_mesh, y_mesh = np.meshgrid(x_vals, y_vals) z = f(x_mesh, y_mesh) plt.contour(x_mesh, y_mesh, z, levels=np.logspace(-1, 3, 10)) plt.colorbar() plt.show()
Jax를 사용한 간단한 그래디언트 계산
JAX를 사용하면 자동 미분 기능을 활용하여 그래디언트를 간단하게 계산할 수 있습니다.
위 코드에서 그래디언트를 계산하는 부분은 다음과 같습니다.
# 현재 위치에서 기울기 계산 gradient_x = df_dx(x, y) gradient_y = df_dy(x, y)
df_dx 함수와 df_dy 함수를 이용하여 각각 x, y에 대한 편미분을 계산하고, 이를 gradient_x와 gradient_y 변수에 할당합니다. 이후 경사하강법 알고리즘에서 이 값을 이용하여 모델을 업데이트합니다.
JAX를 사용하면 자동 미분 기능을 활용하여 그래디언트를 간단하게 계산할 수 있습니다.
JAX에서는 grad() 함수를 사용하여 함수의 그래디언트를 계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위의 코드는 다음과 같이 변경될 수 있습니다.
import jax.numpy as jnp from jax import grad import matplotlib.pyplot as plt # 함수 정의 def f(x): return x[0]**2 + x[1]**2 # 하이퍼파라미터 정의 LEARNING_RATE = 0.1 MAX_ITERATIONS = 50 # 초기값 설정 x = jnp.array([4.0, 4.0]) # 그래디언트 계산 함수 grad_f = grad(f) # 경사하강법 알고리즘 for i in range(MAX_ITERATIONS): # 현재 위치에서 그래디언트 계산 gradient = grad_f(x) # 경사하강법 업데이트 x -= LEARNING_RATE * gradient # 시각화를 위한 저장 plt.scatter(x[0], x[1], color='red') # 함수 시각화 x_vals = jnp.linspace(-6, 6, 100) y_vals = jnp.linspace(-6, 6, 100) x_mesh, y_mesh = jnp.meshgrid(x_vals, y_vals) z = f([x_mesh, y_mesh]) plt.contour(x_mesh, y_mesh, z, levels=jnp.logspace(-1, 3, 10)) plt.colorbar() plt.show()
위 코드에서는 jax.numpy를 jnp라는 별칭으로 사용하고 있으며, 함수 f(x)를 x의 요소 중 첫 번째와 두 번째 요소에 대한 제곱합으로 정의하였습니다. 그리고 jax.grad 함수를 사용하여 f(x)의 그래디언트를 자동으로 계산합니다. 그래디언트를 계산하기 위해 x가 필요하므로, x를 jnp.array로 선언하였습니다. 이후 경사하강법 알고리즘은 이전과 동일하게 작성하였습니다. 마지막으로 함수를 시각화하기 위한 코드는 이전과 동일합니다.
Training your Linear Model
What is Linear Regression?
what is the machine learning?
머신러닝으로 돈벌기 – 무서울 만큼 정확한 머신러닝 관상 서비스
얼굴 인식 분야에서 머신러닝 기술이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딥러닝 모델을 사용하여 얼굴 이미지에서 특징을 추출하고, 추출된 특징을 분류 알고리즘에 적용하여 얼굴이 어떤 사람의 것인지 구별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얼굴 인식 기술을 사용하여 보안 인증 시스템이나 사진 검색 서비스 등에 적용할 수 있습니다.
해결 과제.
머신러닝은 주어진 데이터에서 패턴을 찾아내는 기술입니다. 하지만 인간의 관상은 개인의 생년월일, 이름 등 개인정보와도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따라서, 머신러닝으로 관상을 본다는 것은 개인정보의 사용과 관련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머신러닝 모델은 훈련 데이터에 기반하여 학습되기 때문에, 데이터셋의 편향성이나 노이즈 등에 따라 결과가 왜곡될 수 있습니다.
또 과거에 살았던 사람들의 얼굴데이터를 이용해 분류 패턴을 학습시키는 것은 가능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적절한 양의 얼굴데이터가 필요하며, 데이터 수와 질이 결과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따라서 데이터의 수집과 전처리, 그리고 분류 알고리즘의 선택과 학습 과정 등이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머신러닝과 양자 컴퓨터
양자 컴퓨터는 양자역학의 원리를 기반으로 동작하는 컴퓨터입니다. 기존의 디지털 컴퓨터는 0과 1의 이진수로 정보를 처리하지만, 양자 컴퓨터는 양자 상태를 이용해 병렬 연산을 수행합니다. 이러한 병렬 연산으로 인해, 양자 컴퓨터는 일부 문제에서 기존의 컴퓨터보다 지수적인 속도 향상을 보입니다.
양자 컴퓨터에서는 양자 비트(quantum bit, qubit)라는 개념이 사용됩니다. 양자 비트는 일반적인 비트와는 달리, 0과 1이 아닌, 양자 상태를 갖습니다. 이러한 양자 상태는 측정하기 전까지는 모든 가능한 상태를 동시에 갖을 수 있습니다. 이를 이용해 병렬 연산을 수행하고, 양자 알고리즘을 통해 복잡한 계산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양자 컴퓨터는 아직까지 기술적으로 매우 어렵고, 구현도 매우 어려운 분야입니다. 현재까지는 제한된 크기의 양자 컴퓨터만 구현되어 있으며, 알고리즘도 한계가 있습니다. 그러나 양자 컴퓨터 기술의 발전과 함께 미래에는 더욱 강력한 양자 컴퓨터가 등장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현재까지 양자 컴퓨터를 이용해 작성된 프로그램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양자 알고리즘: 퀀텀 텔레포테이션, 양자 계산복잡도 이론 등
양자 암호화: 양자 키 분배, 양자 암호 해독 등
양자 머신러닝: 양자 뉴럴 네트워크, 양자 지도학습, 양자 강화학습 등
양자 시뮬레이션: 양자 액체, 양자 자기장 등의 시뮬레이션
양자 화학: 분자 시뮬레이션 등
이외에도 연구가 계속 진행되고 있으며, 양자 컴퓨터를 이용한 새로운 분야와 애플리케이션이 발견될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